삼성 애플의 스마트폰, 태블릿에 도입되고 있는 BRS 기술과 화면에 베젤이 생기는 이유에 대해 소개합니다.
목차
BRS란?
BRS(Border Reduction Structure)는 간단하게
베젤을 최대한 얇게 줄여 만드는 베젤 축소 기술입니다.
베젤(Bezel)이란? 베젤이 생기는 이유
디스플레이는 매우 작은 크기의 RGB 소자들이 모여 구성돼 있습니다.
보통 1픽셀을 기준으로 빨간색(RED), 초록색 (GREEN), 파란색(BLUE)
세 가지 소자를 가지고 있는데
실제 제품인 S24 울트라의 디스플레이를 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면
1픽셀에 빨간색, 파란색이 하나씩 초록색이 두개씩 총 4개의 RGB소자가 규칙적인 마름모 형태로 배치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S24 울트라의 해상도 등급은 QHD+로 3120 x 1440 해상도 총 픽셀의 수는 3120 x 1440 = 약 450만개
디스플레이가 가진 총 RGB 소자의 수는 3120 x 2160 X 4 = 약 3007만개가 됩니다.
이 소자 하나하나가 꺼지고 켜지는 단순한 동작부터 수천 단계로 밝기 조절해 수십억 가지 이상의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는데,
이를 제어하려면 각각의 소자를 회로에 연결시키고 케이블의 형태로 디스플레이에서 외부로 뺄 수 있게 만들어 컨트롤 보드 또는 메인 보드에 연결해야 합니다.
(수백개의 버튼을 가진 키보드를 USB 케이블 하나로 컴퓨터와 연결해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디스플레이에서 빠져나온 케이블은 위와 같이 넓고 납작한 필름의 형태로 되어 있고
붉은색 박스 부분과 같이 소자와 케이블 사이를 연결하는 회로판이 돌출된 형태로 나와 있습니다.
이렇게 돌출된 부분은 RGB 소자 없이 순수하게 소자의 신호 배선과 회로가 지나가는 통로의 용도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빛을 발하지 않는 죽은 영역, Dead Space 그리고 디스플레이 부품에 커버를 씌우면 테두리가 검게 보이는
베젤(Bezel)이 생기게 됩니다.
스마트폰의 경우 이런 데드스페이스가 하단에 만들어지게 되는데 하단에만 베젤을 만들면 외관상 보기 좋지않아
베젤이 필요 없는 나머지 세 면도 데드스페이스와 동일한 베젤 두께를 만들어 균형을 맞추게 됩니다.
최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는 이런 데드 스페이스가 매우 적어 얇은 베젤을 가지고 있지만
베젤이 아예 없다고는 볼 수 없는데
이번에 도입된 BRS 기술로 데드스페이스에 들어가는 회로의 배선을 최적화하여 기존보다 훨씬 더 작게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BRS 기술의 실제 적용 사례
24년 9월에 출시한 아이폰 16 프로맥스는 BRS 기술을 도입하여 이전 세대와 비교해 약 0.4mm로 베젤의 두께가 줄었습니다.
이전 세대 대비 약 25%정도 베젤의 두께가 감소하였다 볼 수 있는데 실제 두 기기를 놓고 비교한 사진을 보면
검은색 베젤 면적이 줄어 세련되면서 더 깔끔한 느낌을 줍니다.
BRS 기술의 단점
보다 고도화된 회로 설계 기술로 디스플레이 생산 단가가 높아집니다.
디스플레이의 완충재 역할을 하던 베젤 부분이 줄고 RGB소자가 빛을 발해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 영역(Active Area)이 보다 많은 영역을 차지하게 되면서 충격으로 인한 파손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제로에 가까운 베젤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손으로 잡을 때 디스플레이 표시 영역을 실수로 터치할 확률이 높아집니다.
지금까지 디스플레이의 기술 중 하나인 BRS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아이폰 16 이외에도 갤럭시 탭 S8 울트라에도 이 기술이 도입되었고 25년 초에 출시하는 S25 울트라에도 BRS 기술을 도입할 예정인데, 이전 세대와 얼마나 차이가 있을지 기대되는 부분입니다.